본문 바로가기
  • 테크에 관한 모든 것.
Essay

Ep.2 : 성공 방정식

by @TA 2024. 3. 29.
인생에서의 성공에 방정식이 존재할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공 방정식 및 그 방정식의 해답을 찾기 위한 힌트에 관해 생각을 정리해 보았다. 

 

 대학 4학년, 취업 준비하던 시절에 문득 들었던 생각은 "모두가 동경할 만한 뛰어난 사람들은 어느 회사에 모여있을까?"였다.

 

 돈 많이 주는 직장에 모여있겠지- 라는 건조한 대답도 가능한 질문이지만, 단순히 금전적인 부분을 떠나서 직원 개개인의 실력과 인격/사내 분위기/조직 문화/회사의 대외 이미지 등 긍정적인 요소들이 망라된 꿈의 직장은 어디일까라는 고민에 빠졌던 적이 있었다.

 당연하게도 그런 직장에서 대학을 갓 졸업한 풋내기에게 자리를 내어줄 리 만무했다. 누군가는 꿈꿔볼 만한 기업에 어렵사리 첫 입사했지만, 소싯적 내가 꿈꿔온 것들과는 거리가 먼 회사라는 것을 금방 깨달았다. 언제나 현실은 빛과 어둠을 모두 머금은 회색빛이다.

 

 다행히 주니어로서 실력을 갖춰가기엔 나쁘지 않은 상황이었기에, '일단 실력을 키워서 내가 바라는 회사를 찾아보자'는 생각을 갖고 묵묵히 일했다.

 만 3년의 기간을 채우니 이런저런 기회가 다가오기 시작했고, 운이 좋게도 나는 그동안 생각했던 기준에 가장 가깝다고 여겨온 회사로 이직을 하게 됐다. 새 직장에 처음 출근했던 날- 당시 인사 팀장은 나를 포함한 신규 입사자들에게 한 가지 멘트를 던졌다. 

 "여러분이 여기에 왔다는 건, 각자가 보유한 인생의 성공 방정식에 의한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느낀 바 성공 방정식이란 반드시 존재한다. 내가 생각하는 성공 방정식을 공식화하자면 다음과 같다.

위대함(성공) = 열정 + 끈기

 

 워딩만으로는 정말 쉽고 단순해보인다. 하지만 모두가 알다시피, 이 열정과 끈기를 한 가지 분야에 장기간 쏟기란 쉽지 않다. 여기에 주석을 덧붙이자면, 내가 장기간 정성을 쏟는 일과 그 분야가 시대의 흐름과 맞물려야 한다는 것. 이게 바로 운이라고 생각한다.

 

 운이란 과연 아무 생각이 없는 사람에게 찾아올까? 그렇지 않다. 무엇이든 간절히 염원하는 자들에게 찾아온다.


 기억해야할 점은 이 과정에서 반드시 독서가 더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단언컨대 독서가 없는 성공이란 없다. 혹시 있더라도 장기간 그 성공을 지키기 힘들다고 본다. '88:2의 법칙'이란 게 있다. 부자의 88%는 독서를 하고, 빈자의 2%가 독서를 한다는 내용이다. 부와 성공을 목표로 하는 사람에게 독서란 필수사항이다.

 그렇다면 책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개인적으로는- 책을 읽을 때 가급적 책과 대화하듯이 읽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냥 일방적으로 저자의 이야기를 받아들이는 형식의 독서는, 경험에 비춰봤을 때 대화식 독서에 비해 머리에 스며드는 정도가 훨씬 미미하다.

 

 그리고 독서 후 책 내용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적어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종이에 적든, 휴대폰으로 적든 아주 짧게라도 말이다. 1)대화식 독서2)책 읽고 생각 적어보기 단계를 거친다면- 그 책이 담고 있는 내용 전체가 머리에 온전히 스며들고, 내 것이 되는 느낌이 든다.

 많은 성공한 사람들의 주장에 따르면, 새로운 분야에 대한 일을 하고자 할 때 그 분야의 책 10권을 읽으면 웬만한 전문가 이상의 통찰력을 보유한 사람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내 기준에 '책은 마음의 양식'이다라는 말은 너무 부드러운 표현이다. 사람이 장기간 배고프면 세상을 떠나듯, 장기간 뇌고픈(ㅋㅋ) 경우 자연의 섭리 마냥 세상에서 도태된다.
 
 이번 의대정원 증원 추진 사건은 '이 시대에 마지막 남은 학교 공부 잘해서 얻는 안전한 인생 테크트리의 종말'을 시사한다고 본다. 학벌 시대의 완전한 종말과 함께 펼쳐질 능력 위주의 무한경쟁 시대에 우리의 칼(경쟁력)을 갈고 닦을 가장 쉽고 빠른 길은 「독서」이다.


 현재 나의 지점을 A로 놓고, 목표 지점(성공)을 B로 놓는다. A에서 B를 가장 빠르게 가는 방법은 무엇일까? 통상 가로지르면 된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관점을 달리해보면 이러한 답안도 제시 가능하다.

 내리막길에서는 가속이 붙는데, 이 가속이 바로 「즐거움」이다. 무슨일을 하든 즐거움을 느끼면 열심히 잘하는 것보다 큰 성취를 얻게 된다. 즐거움은 성공을 위한 일종의 촉진제로 볼 수 있다.
 
 여기까지 성공 방정식에 대해여 알아보았다. 중요한 건 나부터도 성공을 논하기엔 아직 여러모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나를 포함하여 이 글을 읽은 모든 사람들이 성공 방정식의 해답을 얻길 기원하면서 이번 EP를 마무리한다.

반응형

'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6 : 너, 행복하니?  (2) 2024.04.21
Ep.5 : 그때는 그때의 아름다움을 모른다.  (0) 2024.04.16
Ep.4 : 서른일곱 즈음에  (1) 2024.04.15
Ep.3 : 나를 찾아서  (2) 2024.03.31
Ep.1 :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0)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