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아이콘 매치를 뛰기 위해 방한하여 예능감을 한껏 발휘했던 에당 아자르.
과거 첼시의 크랙으로도 유명하며, 레알 마드리드의 먹튀로도 유명합니다.
레알 입장에서는 당시 세계 최고의 우량주였던 아자르에게 큰 투자를 감행했지만
전 세계에 축구 실력 대신 햄버거를 각인시키고 은퇴하며, 구단에 역대급 손실을 안겨준 것으로도 유명하죠.
사실 투자의 세계에서 위와 같은 사례는 언제든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최대한 안정적인 방법으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이번 포스팅은 바로 이러한 궁금증을 갖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바로 「미국 배당 etf」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현명한 투자로 배당금을 따박따박 받으며
모두 아자(르)를 외치는 그날이 오길 기원합니다🙏
배당 ETF란?
배당 ETF는 일정한 주기로 배당을 지급하는 주식을 기반으로 한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입니다.
배당주는 기업이 발생한 수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배당으로 지급하는 주식을 의미하며
ETF는 여러 주식을 묶어 하나의 상품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투자 상품입니다.
즉, 배당 ETF는 배당을 지급하는 다양한 기업의 주식을 모아놓은 상품으로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얻으려는 투자자에게 유리합니다.
배당 ETF 특징
- 안정적인 수익성
배당 ETF는 배당을 주는 기업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꾸준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배당 수익과 자본 차익 가능성
배당 외에도 주가 상승에 따른 자본 차익을 동시에 노릴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섹터로 구성
특정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의 배당주로 구성된 경우가 많아 리스크 분산에 유리합니다.
배당 ETF 장점
- 고정 수입
주기적인 배당을 통해 정기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어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구축에 적합합니다. - 리스크 관리
다양한 종목에 분산 투자하므로 개별 주식 투자보다 리스크가 적습니다. - 접근성
개별 종목을 선별하지 않아도 되어, 초보자도 손쉽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배당 ETF의 단점
- 제한된 성장성
배당주로 구성된 ETF는 성장성이 높은 종목보다 안정적인 종목이 많아 높은 자본 차익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배당 수익률 변동 가능성
기업 실적에 따라 배당이 줄어들거나 배당률이 변할 수 있습니다. - 시장 하락 시 배당 감소 가능
경기 침체나 시장의 하락으로 인해 배당 수익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왜 「미국 배당 ETF」에 투자해야 할까?
미국의 많은 기업들은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배당을 지급하고 있으며
배당금을 점차 증가시키는 성향이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하는 미국 배당 ETF는 배당금 성장 가능성이 높아
투자자들에게 장기적인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반면, 한국 기업의 배당 정책은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크고
일관된 배당 정책을 유지하는 기업이 많지 않아
배당금의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배당 수익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에게는
미국 배당 ETF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미국 배당 ETF 종류 및 특성
다음은 미국의 주요 배당 ETF들을 기준별로 분류하고, 각 특징을 간략히 정리한 표입니다.
기준 | ETF 예시 | 특징 |
배당 성향 | 고배당 - VYM, DVY, SDY | 높은 배당 수익률, 안정적 배당주로 구성 |
배당 성장 - SCHD, VIG | 배당 성장이 가능한 기업으로 구성, 중장기적 성장 가능성 | |
배당 지급 방식 | 정기 배당 - SPYD, VYM | 분기/반기 배당, 대형주 중심 안정적 수익 |
월별 배당 - QYLD, DIV | 매월 배당 지급, 커버드 콜 등으로 높은 배당률, 자본 성장 제한 | |
섹터/주제별 | 일반형 - SCHD, VIG | 다양한 산업군에 분산 투자, 안정성 추구 |
특정 섹터 - KBWD(금융), IYR(부동산) | 특정 섹터의 배당주에 집중 투자, 섹터 리스크 존재 | |
위험도 | 저위험 - VIG, SCHD | 안정적 배당주로 구성, 장기적 안정성, 낮은 변동성 |
고위험 고배당 - SDIV, QYLD | 높은 배당률 제공, 변동성 높고 시장 변동성에 민감 |
대표적인 미국 배당 ETF ① -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 티커(고유 종목 코드) : SCHD
- 운용사 : Charles Schwab
- 설립연도 : 2011년
- 기준지수 :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
- 운용비용 : 0.06% (비교적 낮은 운용 비용)
- 배당 지급 : 분기별 배당 지급
- 10년 평균 배당 성장률 : 11.32% (전체 ETF 배당 성장률 중앙값 6.13% 상회)
SCHD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를 추종하며
재무 건전성이 높고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제공하는 상위 100개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ETF는 미국 주식시장에서 배당을 지속적으로 지급하고
재정 상태가 좋은 대형 우량주들로 구성되어 있어
장기 투자 시 안정적인 수익과 자산 성장성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습니다.
SCHD는 배당주에 관심 있는 장기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대표적인 미국 배당 ETF ② - QYLD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 티커(고유 종목 코드) : QYLD
- 운용사 : Global X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자회사)
- 설립연도 : 2013년
- 기초지수 : NASDAQ-100
- 운용전략 : 커버드 콜 (Covered Call)
- 운용비용 : 0.60%
- 배당주기 : 월별
💡 QYLD 운용 전략 : 커버드 콜 (Covered Call)
커버드 콜(Covered Call)은 주식을 보유하면서 그 주식에 대한 콜 옵션을 매도(판매)하는 전략입니다.
주식을 이미 보유한 상태에서 콜 옵션을 매도해 추가 수익(프리미엄)을 얻으려는 목적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집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일정 기간 동안 다른 사람이
그 집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돈을 받고 파는 것과 비슷합니다.
QYLD는 커버드 콜을 통해 옵션 프리미엄 수익을 창출하여 투자자들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합니다.
커버드 콜은 주가 상승 시 수익이 제한되지만, 하락 시에는 옵션 프리미엄을 통해 손실을 일부 상쇄할 수 있습니다.
QYLD는 고배당과 월별 배당을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지만
커버드 콜 전략의 특성과 세금 이슈 등을 충분히 이해하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SCHD와 QYLD의 특성 및 장,단점을 비교하여 표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분 | SCHD | QYLD |
운용 전략 | 미국 내 대형주에 투자하여 자본 성장과 배당 수익을 동시에 추구 |
나스닥에 커버드 콜 옵션을 매도하여 높은 배당 수익률을 제공 |
배당 주기 | 분기 | 월 |
평균 배당률 | 약 3-4% | 약 10-12% |
운용 비용 | 0.06% | 0.60% |
장점 | -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배당 성장 - 낮은 운용비용으로 장기 투자 시 유리 - 산업군 분산 투자로 리스크 관리 - 배당 성장 가능성 높음 |
- 높은 배당 수익률 제공 - 월 배당 지급으로 정기적인 현금 흐름 확보 - 주가 하락 시 손실 완화 가능 |
단점 | - 상대적으로 낮은 배당 수익률 - 자본 이익의 성장성 제한 - 현금 흐름을 최우선 고려하기엔 부족 |
- 커버드 콜 전략으로 자본 성장 제한 - 장기적으로 운용비용 부담 큼 - 주가 하락 시 손실을 상쇄하지 못할 수 있음 - 세금 처리 복잡성 |
적합 투자자 | 배당, 자본 성장을 동시에 원하는 투자자 | 자본 성장보다는 고정 배당을 원하는 투자자 |
종합 평가 | - 장기 자산 성장에 적합한 안정적인 ETF - 배당 성장 가능성과 비용 효율성을 중시 |
- 현금 흐름을 우선시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 자본 이익보다 배당 수익 중시 |
자본 성장 + 적당한 배당(분기) → SCHD
자본 유지 + 많은 배당(월) → QYLD
주가 추이를 봤을 때.. SCHD 승🚩
배당 ETF에 매월 적립식 투자를 진행하면 연 배당금은 얼마를 받을까?
지난 20년간 세계 경제 지표의 평균치를 적용하여
매월 $500씩 SCHD와 QYLD에 적립식 투자를 진행할 때
연 배당금이 어떻게 나올지 시뮬레이션을 돌려봤습니다.
* 모든 배당금은 해당 etf에 재투자하는 것으로 가정함(복리 적용)
연차 | SCHD 연간 배당금 (USD) | QYLD 연간 배당금 (USD) |
1 | $218 | $728 |
2 | $502 | $1,470 |
3 | $866 | $2,228 |
4 | $1,329 | $3,001 |
5 | $1,913 | $3,789 |
6 | $2,645 | $4,593 |
7 | $3,556 | $5,414 |
8 | $4,685 | $6,251 |
9 | $6,079 | $7,105 |
10 | $7,793 | $7,976 |
11 | $9,895 | $8,865 |
12 | $12,466 | $9,772 |
13 | $15,600 | $10,697 |
14 | $19,415 | $11,641 |
15 | $24,049 | $12,604 |
16 | $29,668 | $13,586 |
17 | $36,470 | $14,588 |
18 | $44,694 | $15,610 |
19 | $54,624 | $16,653 |
20 | $66,600 | $17,717 |
SCHD에 20년간 적립식 투자를 진행하면
연 배당금이 무려 $66,600(9,312만원)인 것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생각 이상으로.. 엄청난 액수네요. 계산해놓고 충격😇😇😇
(연간 성장률 7%, 연간 배당률 3.5%, 연간 배당 성장률 11% 적용)
계산과 함께 곧 바로 결론 도출이 가능해졌습니다.
월급에서 남은 돈은 반드시
SCHD에 적립식으로 투자하라.
끝으로, 배당 ETF는 증권사 ISA 계좌를 만들어 투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유는 과세 이연으로 인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인데요.
ISA 관련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세테크 전략
무더위가 가고 시원한 밤공기를 마실 때쯤부터 일까요? 제 머릿속에는 '연말정산'이라는 단어가 가끔씩 떠오르곤 합니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라도 지나칠 수 없는 '세금'모른 척 지나칠
tech-archive.com
'Inv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1.0 : 자산별 투자 수익률 비교 (23) | 2024.11.11 |
---|---|
[부동산 스터디] 주간 인기글 리뷰 - 3 (18) | 2024.11.10 |
트럼프 2.0 : 우리는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 (24) | 2024.11.08 |
[부동산 스터디] 주간 인기글 리뷰 - 2 (36) | 2024.11.06 |
세테크 전략 (22) | 2024.10.16 |